분류 전체보기25 [컴퓨터구조] 클럭 속도 / 워드 / 사이클 하드웨어 알못인 나.. 갑자기 개강하고 컴퓨터 구조 강의를 듣는데 모르는 단어를 막 뱉으시는 교수님.. 이게 한국어인가 하고 듣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컴퓨터 그쪽 계열이면서 이런 내가 너무 한심하고 부끄러어서 용어 하나하나 파헤쳐가면서 이해 해보려고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절대 못 넘어가는 성격) 클럭 속도(클럭 스피드) 클럭 스피드(Clock Speed)란 CPU의 동작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Hz로 표현한다. 이게 정확히 무슨 말이냐 !! 하면 CPU는 매초 다른 프로그램들의 많은 명령(산술같은 저수준 계산)을 처리하는데, 클럭 속도는 CPU가 초당 실행하는 사이클 수를 GHz로 측정하는 것이다. 클럭 속도는 물리적인 하드웨어의 발진자(Oscillator)와 연관이 있다. 그럼 발진자.. 2022. 3. 18. [컴퓨터구조] 폰 노이만 구조 vs 하버드 구조 학교에서 컴퓨터 구조 수업을 듣게 되었는데,, ㅎ 교수님 정말 좋은데, 아는 것을 다 퍼부어서 말씀 해주셔서 hardware 알못인 나는 조금 이해하기 벅차다 ㅎ 그래서 !!!!! 블로그에 정리 하면서 천천히 공부해보려고 한다 !!!!!! 먼저 소프트웨어를 공부하는 사람이 컴퓨터 구조를 배우는 이유는, S/W를 H/W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를 해서 성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컴퓨터구조는 노이만 아키텍처vs하버드 아키텍처 이 양대 산맥을 이룬다. 폰 노이만 구조 먼저 폰 노이만 구조는 존 폰 노이만이 제안한 구조이다. 저 그림에 Memory Unit에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시작주소가 들어가는데, 그 프로그램 안에는 명령어, 데이터가 들어있다. 따라서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이 명령어/데이터가 혼재되는.. 2022. 3. 18. [자료구조] 추상자료형 Abstract Data Type 추상자료형은 구체적인 기능의 구현 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히 기능이 무엇인지를 나열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머니에 대한 '추상 자료형'을 추출해보면 구슬을 넣음 구슬을 빼냄 동전을 넣음 동전을 빼냄 돌을 넣음 돌을 빼냄 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는 주머니에 구슬을 넣기 위해 주머니를 열어서 구슬을 넣고 주머니를 닫는 과정, 즉 구슬을 주머니에 넣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위에서 언급한 주머니를 구조체를 이용해 정의해보겠다. typedef struct pocket { int marble; //구슬의 수 int coin;//동전의 수 int rock;//돌의 수 } Pocket; 이렇게 구조체의 정의만으로 Pocket이라는 자료형의 정의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Po.. 2022. 1. 22. [자료구조] 이진 탐색 알고리즘의 재귀적 구현 ◆이진 탐색 알고리즘의 반복 패턴을 정리해보면 1, 탐색 범위의 중앙에 목표 값이 저장되었는지 확인 2. 저장되지 않았다면 탐색 범위를 밤으로 줄여서 다시 탐색 시작 ◆이진 탐색 알고리즘의 탐색 실패가 결정되는 시점 :탐색 범위의 시작위치를 의미하는 first가 탐색 범위의 끝을 의미하는 last보다 커지는 경우 →재귀 함수의 탈출 조건이 된다!!!!!!!!!!!!!!!!!!!!!!!!!!!!!!!!!! #include int BSearchRecur(int ar[], int first, int last, int target) { int mid; if(first > last) return -1; // -1의 반환은 탐색의 실패. mid = (first + last) / 2; // 탐색 대상의 중앙을 찾.. 2022. 1. 22.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