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

[GitHub] 깃허브 Repository 이름 변경하기 깃허브를 요즘 사용하려고 노력중인데 맨날 리퍼지토리 이름 변경하려고 할 때마다 구글링 하는 게 귀찮아서 블로그에 남기기로 했다. 1. 먼저 자신의 깃허브에 들어가서 수정하고 싶은 Repository에 들어간다 !! 2. Settings에 들어가서 Repository name을 원하는 이름으로 수정해준 후 Rename을 누른다. 본인은 안 쓰는 리퍼지토리를 자료구조 소스코드를 올리는 리퍼지토리로 바꾸기 위해 study-datastructure 으로 Rename 했다!! 3.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가서 Git Bash를 실행한다.(Git Bash를 실행해서 해당 경로로 가는 것도 가능.) 4. git remote -v 를 입력하면 현재 프로젝트 저장소 및 url을 출력해준다. 현재는 아직 변경하기 전인 gi.. 2022. 7. 14.
[안드로이드] 코틀린 언어 소개 코틀린의 등장 배경 코틀린은 IntelliJ IDEA(인텔리제이 아이디어)(통합 개발 환경)의 개발사 젯브레인스에서 오픈 소스 그룹을 만들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011년 처음 공개 되었고, 2017년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로 지정하면서 유명해졌다. 코틀린으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자바의 가상 머신인 JVM에 기반을 둔 언어이기 때문이다. JVM은 Java Virtual Machine의 줄임말으로 직역하면 '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기계(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Java는 OS에 종속적이지 않다. 따라서 OS위에서 Java를 실행시킬 무언가가 필요한데, 그게 바로 JVM이다. 즉, OS에 종속받지 않고 CPU가 Java를 인식,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가상 컴퓨터 !! .. 2022. 5. 20.
[컴퓨터구조] 성능평가 성능 컴퓨터의 성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끝나는 쪽이 더 빠른 컴퓨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대의 서버를 가지고 여러 사용자의 작업을 처리하는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때에는 하루 동안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하는 컴퓨터가 더 빠른 컴퓨터일 것이다. 컴퓨터 사용자 개인의 입장에서는 응답 시간 - execution time (실행 시간)이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 센터 관리자에게는 처리량,대역폭(Throughput / Bandwidth)이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응답 시간이 더 중요한 개인 휴대용 기기와 처리량이 더 중요한 서버의 성능을 평가할 때에는 대부분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다른 성능 척도를 사용한.. 2022. 4. 4.
[컴퓨터구조] 컴퓨터 추상화 교수님께서 컴퓨터 추상화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이 없이 바로 그 하위 개념들만 설명해주셔서.. 내 나름대로 열심히 찾아봤다. 코딩에서의 추상화도 검색되고, 미술 추상화도 검색되고.. 그렇게 헤매다가 찾은 정의는 컴퓨터 추상화(Computer abstraction)란, 사용자 혹은 엔지니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잘 포장된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왜 아직도 컴퓨터 추상화 라는 주제 아래에 ISA와 ABI, 메모리 같은 개념이 나오는 지 이해하지 못하겠다.. 컴퓨터 내부 구조를 몰라도 사용자가 잘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그런건가? 그럼 이 글의 제목은 뭐라고 해야할 지... 아무튼 공부하다 보면 깨닫게 되는 날이 오겠지.. 명령어 집합 구조(I.. 2022. 3. 20.